담배를 피다 피우다 태우다 – 맞춤법

친구는 초조하면 늘 담배를 [ 피다 / 피우다 ]. 여기서 ‘피다’가 맞는 말일까요? 아니면 ‘피우다’가 맞는 말일까요? 오늘은 틀리기 쉬운 담배를 피다 피우다 태우다 중 올바른 맞춤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담배를 피다 피우다

1. 담배를 피다 피우다

결론부터 말씀을 드리면 ‘피우다’가 맞는 표기입니다.

  • 담배를 피우다 (O)
  • 담배를 피다 (X)

담배와 같은 물질에 불을 붙여서 연기를 빨아들였다가 내보내는 행위를 의미하는 동사는 ‘피우다’라고 쓰는 게 맞습니다.

따라서 담배와 같이 어울릴 적에는 ‘폈다(X)’로 활용하면 틀리게 됩니다.

예시

(예) 담배를 피웠다 (O)
(예) 담배를 폈다 (X)

(예) 담배를 피우며 서 있었다 (O)
(예) 담배를 피며 서 있었다 (X)

(예) 한 대만 피울게 (O)
(예) 한 대만 필게 (X)

‘피우다’는 매우 뜻이 다양한 동사인데요.

그럼 예문과 함께 바로 뜻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피우다 뜻

피우다는 타동사로써, 피다의 사동사로도 사용되며, 동시에 동사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뜻도 존재합니다.

사동사

1) 꽃봉오리 따위를 벌어지게 하다. 

– 장미꽃을 피우다
– 꽃을 피우는 봄이 오다.
– 나무는 드디어 꽃을 피웠다.

2) 연탄이나 숯 따위에 불을 일으켜 스스로 타게 하다

– 장작불을 피우다
– 모닥불을 피우다
– 캠핑장에서 나뭇가지를 모아서 불을 피웠다.

3) 연기 따위를 생기게 하다.

– 연기를 피워서 위치를 알리다.
– 말을 타고 온 무리는 요란하게 먼지를 피우며 지나갔다.
– 먼지를 피우다

4) 냄새나 먼지 따위를 퍼지게 하거나 일어나게 하다

– 야, 냄새 피우지 말고 휴게실에서 먹어.
– 말이 먼지를 피우며 달린다.
– 여기는 공공 장소이므로 냄새를 피워서는 안 됩니다.

5) 웃음이나 미소 따위를 겉으로 나타나게 하다. 

– 사람들이 모여 서로 웃음꽃을 피웠다.
– 미소를 피우다

자체적인 뜻

1) 어떤 물질에 불을 붙여 연기를 빨아들이었다가 내보내다.

– 곰방대를 피우다
– 담배를 많이 피우다
– 파이프를 입에 물고 피우며 생각에 잠겼다.

2) (일부 명사와) 그 명사가 뜻하는 행동이나 태도를 나타내다.

– 지수는 봉사하는 곳에서 게으름을 피우지 뭐야.
– 강아지는 주인 앞에서 딴청을 피웠다.

– 가게 안에서 소란을 피우지 말고 나가세요.
– 쓸데없는 고집을 피우다

– 바람을 피우다
– 어리광을 피우다

3. 담배를 태우다?

태우다는 ‘불을 붙여 어떤 것을 타게 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담배를 태우다 역시 맞는 표현입니다.

4. 정리

담배를 피다 (X) 피우다 (O) 태우다 (O)


오늘은 일상에서 담배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동사 피우다 태우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우다’가 들어간 표현이 바른 표현이라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