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적 차원 뜻
평소 정치 뉴스를 즐겨 보시는 분이라면 한 번 정도는 대승적이란 표현을 들어볼 수가 있습니다. 대승적은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일상에서 ‘대승적 차원, 차원, 대승적으로’ 형태로 자주 사용되는 대승적 뜻 및 예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대승적 뜻
사사로운 이익이나 작은 일에 얽매이지 않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판단하고 행동함.
자신이나 소수의 이익에 매달리지 않고 상황을 더 크게 보고 행동한다는 것입니다.
나와 친한 두 명을 살릴 수 있는 일과 천 명을 살릴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천 명을 살리는 관점으로 뭔가를 판단한다는 것이죠.
이 표현은 원래 불교에서 유래한 것인데요.
아래에서는 ‘대승’이란 표현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불교에서 유래
기독교가 다수의 구원에 초점을 맞추는 것처럼 현대의 불교 역시 다수의 구원이 초점을 맞추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초기 불교는 자신의 해탈과 경전 해석에 꽤나 치중되어 있었습니다.
이것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들이 기존 불교를 소수만 해탈할 수 있는 수레와 같다고 하여 ‘소승(小乘)’불교라고 비판하였지요.
그리고 자신들은 다수의 해탈을 강조하면서 소승에 반대말로 스스로를 ‘대승(大乘)’이라 칭하여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대승불교가 된 것입니다.
대승 한자 大 : 큰 대 乘 : 수레 승
소수가 아니라 다수의 깨우침을 목표로 하는 종파를 의미하는 대승불교에서 ‘대승적으로’라는 말이 유래하였습니다.
3. 대승적 예문
– 우리만의 입장을 고수할 게 아니라 대승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는 문제이다.
– 내 친구는 매사 자신보다는 대승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 대승적인 견지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 여러분, 대승적 결단을 내려야 할 때가 온 것 같습니다.
– 반목질시하던 각 당은 대승적 차원에서 참여하기로 하였다.
– 소수의 이득이 아니라 현안을 대승적으로 생각해 주시길 바랍니다.
4. 비슷한 말
대국적 (大局的) 큰 판국이나 대체적인 판국에 따르는 것.
오늘은 대승 불교에서 나온 ‘대승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평소에 어렵게 느껴졌던 표현인데요.
저는 대승적으로 살 수 있는 사람은 아니지만, 그래도 남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