묽다 반대말

보통 일상에서 농도가 옅거나 반죽 등에서 지나치게 물기가 많은 경우에 ‘묽다’라는 말을 사용하는데요. 묽다의 반대말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해당 단어, 묽다 반대말 및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묽다 반대말

1. 묽다 반대말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묽다의 반대말은 ‘되다‘입니다.

참고로 묽다에는 여러 가지의 의미가 있는데 보통 반대말을 궁금해하시는 경우의 의미는 죽이나 반죽 따위가 보통 정도에 비하여 물기가 많다는 뜻으로,

반대말은 물기가 적어서 빡빡하다는 되다가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묽다 
죽이나 반죽 등이 원래 있어야 하는 양보다 지나치게 물기가 많다.
되다 
반죽이나 밥 따위가 물기가 적어 빡빡하다.

(예) 반죽이 너무 묽다

(예) 반죽이 너무 되다

먼저 묽다의 뜻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반대말인 ‘되다’를 예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2. 묽다 뜻

① 죽이나 반죽 따위가 보통 정도에 비하여 물기가 많다.

– 묽은 피죽만 먹은 것처럼 몸이 앙상하다.

– 반죽이 너무 묽다.

– 너무 묽게 되어서 밀가루를 더 넣어야겠다.

– 죽을 너무 묽게 끓였다.

참고로 물기가 많다는 묽다의 유의어로는 '질다'가 있다.

질다 뜻
밥이나 반죽 따위가 되지 아니하고 물기가 많다.

② 물감이나 약 따위에 섞여야 할 물의 비중이 지나치게 많다.

– 수채화는 물감을 묽게 해서 그려야 한다.

– 영호는 하늘을 그리기 위해 물감을 묽게 탔다.

– 묽은 피는 헌혈을 할 수가 없다.

③ 사람이 야무지거나 맺힌 데가 없이 무르다.

– 우리 아버지는 사람이 너무 묽어서 친구에게 큰돈을 빌려 주었다.

– 누나는 너무 묽어 가지고 사회생활이 어려워 보인다.

3. 되다 뜻

① 반죽이나 밥 따위가 물기가 적어 빡빡하다.

– 물을 너무 적게 넣으신 건지 밥이 너무 되네요.

– 영희는 요즘 속이 안 좋아서 된 밥을 잘 못 먹는다.

– 반죽이 매우 되니까 물을 더 넣자.

② 줄 따위가 단단하고 팽팽하다.

– 바지의 고무줄이 너무 되게 당겨서 소화가 잘 안된다.

– 음식점에서 많이 먹으려고 되게 맸던 벨트를 좀 풀었다.

– 줄을 되게 당기다.

③ 일이 힘에 벅차다.

– 아이고 되다.

– 체력이 떨어져서 요즘 일이 너무 되다.

– 오전 내내 된 일을 하고 받는 돈이라고는 고작 만 원뿐이었다.

– 야근을 자주 하면 몸이 너무 되어서 힘들다.

④ 몹시 심하거나 모질다.

– 영호는 나대다가 된 사람에게 잘못 걸려 맞아야 정신을 차릴 것 같다.

– 그 신입사원은 되기로 유명한 박 대리 밑에서 일을 배우고 있다.

– 영숙은 차장에게 된 꾸중을 듣고 화장실에 가서 울었다.


오늘은 평소에 글을 쓰다가 막상 떠올리려고 하면 잘 생각이 나질 않는 묽다의 반대말 되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묽다 반대말 되다와 유의어 질다를 함께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