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따 시방 거시기
영화나 드라마에서 인물의 지역색을 표현하기 위해 ‘아따 시방’, ‘거시기’라는 단어를 쓰는 장면을 많이 볼 수 있는데요. ‘아따 시방 거시기’는 전라도 사투리일까요? 오늘은 아따 시방 거시기 전라도 사투리인지, 표준어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전라도 사투리 vs 표준어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모두 표준어가 맞습니다.
- 아따 (O)
- 시방 (O)
- 거시기 (O)
아따 시방 거시기는 타 지역에 비해 전라도 지역에서 더 자주 사용하는 단어일 뿐, 모두 표준어가 맞습니다.
‘아따‘는 감탄사, 시방은 ‘말하는 지금’이라는 의미이고, ‘거시기‘는 하려는 말이나 명칭이 얼른 생각이 나지 않아서 바로 말하기 곤란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말입니다.
아래에서는 예문을 통해 각각의 뜻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각 단어의 뜻, 쓰임새
1) 아따
무엇이 몹시 심하거나 하여 못마땅해서 빈정거릴 때 가볍게 내는 소리.
– 아따, 우리 지후는 사사건건 말이 많네.
– 아따, 성격이 참 급하시네.
– 아따, 아직도 밥을 안 먹고 뭐 했냐?
어떤 것을 어렵지 아니하게 여기거나 하찮게 여길 때 내는 소리.
– 아따, 걱정도 팔자다.
– 아따, 신경쓸 것 없어.
– 아따, 그럽시다.
2) 시방 뜻
말하는 바로 이때.
시방(時方)은 말하는 지금 시점을 가리키는 말로, 한자어입니다.
시방 한자는 아래와 같습니다.
時 : 때 시
方 : 모 방
– 우리나라는 치안이 좋다고 하지만 시방도 사건 사고가 계속 일어나고 있다.
– 대하는 시방이 먹기 좋은 때야.
– 진호네 장남이 무슨 공부야, 시방도 놀러 나가던데.
– 시방까지 나랑 말하고 있던 사람이 사라졌다니 그게 무슨 소리야?
– 그거 시방 막 해결했어.
– 영호는 시방 자고 있어서 이따가 일어나면 전해줄게.
– 시방 거의 다 왔어.
3) 거시기 뜻
이름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 곤란한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
– 초등학교 때 그 얼굴에 점 있던 애 거시기 기억하지?
– 너 자꾸 거시기랑 같이 다니지 마라.
– 내가 아침마다 그 자주 사용하는 거시기 어딨지?
하려는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거나 바로 말하기가 거북할 때 쓰는 군소리.
– 저, 거시기, 뭐 하나만 물어봐도 될까?
– 걔, 거시기, 그게 뭐더라?
– 거시기, 부모님은 잘 지내시지?
거시키? 거시기?
종종 ‘거시기’를 ‘거시키’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 거시기 (O)
- 거시키 (X)
거시키는 비표준어이고, 거시기만 표준어입니다.
오늘은 평소에 전라도 사투리로만 생각했던 아따 거시기 시방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시방은 심지어 순우리말도 아닌, 한자로 이루어진 표현이라는 사실이 놀랍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