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군인들은 [일사분란하게 / 일사불란하게] 훈련에 임했다. 조금도 흐트러지지 않는다는 의미의 단어는 ‘일사분란’일까요? 아니면 ‘일사불란’일까요? 오늘은 일사분란 일사불란 중 맞는 표현과 뜻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1. 일사분란 일사불란 맞춤법
둘 중 올바른 단어는 ‘일사불란’이 맞습니다.
- 일사분란 (X)
- 일사불란 (O)
일사분란은 꽤 많은 분들이 잘못 쓰시는 단어로, 비표준어입니다. 아예 표준국어대사전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예시
(예)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다 (O)
(예)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다 (X)
(예) 행사는 군인들의 일사불란한 행진으로 시작했다 (O)
(예) 행사는 군인들의 일사분란한 행진으로 시작했다 (X)
그렇다면 왜 일사불란이 맞는 표현일까요?
2. 일사불란 뜻
일사불란은 질서가 정연하여 조금도 흐트러지지 아니함을 가리키는 단어로 자주 사용되는데요.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면 다시는 헷갈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일사불란의 한자로 풀이하면 한 오라기 실도 엉키지 아니한다는 뜻입니다.
3. 한자
一 : 하나 일 絲 : 실 사 不 : 아니 불 亂 : 어지러울 란
즉, 부정형을 만들기 위해서 한자 不(아니 불)이 사용된다는 점을 유의해서 봐주시면 됩니다.
4. 예문
– 그들은 마치 미리 짜기라고 한 것처럼 일사분란한 움직임을 보였다.
– 병원은 감영병 재난에 대비하기 위해 일사분란하게 모의 훈련을 하였다.
– 숙련된 작업자들이 일사불란하게 조립하였다.
– 그 체조 팀은 움직임이 일사불란 그 자체더라.
– 선수들은 골을 넣기 위해 모두가 한 마음이 되어 일사불란했다.
– 군인들은 일사불란한 시가행진을 보였다.
– 행사는 일사불란의 진행 속에 잘 마무리되었다.
– 공연의 묘미는 일사불란한 군무이다.
오늘은 평소에 막상 한국어로 작문을 하려고 하면 ‘분란’인지, ‘불란’인지 헷갈리는 일사불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중요한 것은 한 오리 실도 엉키지 아니한다는 부정형을 써야 하므로 한자 ‘不(아니 불)’을 잘 기억해 두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