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초지종 자초지정
일상에서 일의 전반적인 상황이 궁금할 때 ‘자초지종’ 또는 ‘자초지정’과 같은 표현을 사용합니다. 한자를 잘 몰라서 아리송하실 텐데요. 자초지종이 맞을까요? 자초지정이 맞을까요? 오늘은 자초지종 자초지정 뜻과 올바른 맞춤법 표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자초지종 자초지정 맞춤법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자초지종’이 맞는 표현입니다.
- 자초지종 (O)
- 자초지정 (X)
자초지종은 ‘처음부터 끝까지‘라는 의미로 한자 초(初)는 ‘처음‘이란 뜻이고, 종(終)은 ‘끝‘이라는 의미입니다.
우리가 지구 종말이라고 할 때의 그 ‘종’입니다.
2. 자초지종 뜻
「명사」 처음부터 끝까지의 과정.
누군가에게 상황에 대한 설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이야기할 때 사용되거나, 묻는 경우에 많이 나오는 표현으로
아래의 예문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예문
– 갑자기 집을 나간 자초지종을 털어놓다.
– 사건의 자초지종을 묻다.
– 상황의 자초지종은 그러하였다.
– 영수는 어젯밤 있었던 일의 자초지종을 설명하였다.
– 자초지종을 다 듣지 않고는 너와 상종하지 않겠다.
– 야, 헤어지게 된 자초지종을 소상히 털어놔 봐.
– 갑자기 퇴사한 자초지종을 들어나 보자.
3. 동의어 (유의어)
① 자두지미(自頭至尾)
自(스스로 자), 頭(머리 두), 至(이를 지), 尾(꼬리 미)
② 자초지말(自初至末)
自(스스로 자), 初(처음 초), 至(이를 지), 末(말 미)
③ 전후수말(前後首末)
前(앞 전), 後(뒤 후), 首(머리 수), 末(끝 말)
④ 전후시말(前後始末)
前(앞 전), 後(뒤 후), 始(비로소 시), 末(끝 말)
⑤ 종두지미(從頭至尾)
從(끝 종), 頭(머리 두), 至(이를 지), 尾(꼬리 미)
4. 유래
자초지종의 유래는 없습니다.
오늘은 평소에 궁금해하셨던 자초지종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살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설명해야 하는 상황은 최대한 안 만드는 것이 좋은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