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을 줄 세우는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절대평가와 상대평가가 있는데요.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절대평가 상대평가 차이 및 뜻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절대평가란 뜻
먼저 절대평가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절대평가는 쉽게 말해 ‘절대적인 기준‘을 갖고 평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시
쉽게 대학에서 여러분에게 A,B,C,D,F의 학점을 부여한다고 해볼게요.
시험을 봐서 90점 이상인 A를 주고, 80점~89점은 B, 70점~79점은 C 이렇게 절대적인 기준을 갖고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이 ‘절대평가’입니다.
2. 상대평가란 뜻
반대로 상대평가는 집단 내에서 구성원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갖고 평가를 한다는 것입니다.
예시
학교에서 상대평가인 매우 어려운 시험을 보았습니다. 그래서 한 반 30명 전원이 모두 70점 밑으로 맞았습니다.
아까 절대평가의 경우에는 90점이 넘어야 A를 받았었죠.
하지만 상대평가의 경우에는 100점 만점에서 70점이 최고 득점이면 이 점수를 맞은 사람은 다른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본 것이므로 A를 주게 됩니다.
즉 상대평가란 어떤 절대적인 기준 점수를 갖고 평가하는 게 아니라, 집단 내에서 상대적인 위치를 갖고 평가를 매기게 됩니다.
3. 절대평가 상대평가 차이
요약하면 절대평가는 개인이 얻은 절대적인 점수를 기준으로 평가를 하는 방식이고, 상대평가는 집단 내에서 개인의 위치를 갖고 평가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4. 장단점
절대평가의 경우에는 절대적인 기준에 따라 평가하기 때문에 학생이 어느 정도로 이해하고 있는지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단점이 있지요. 다른 집단과의 비교는 불가능하게 됩니다.
반면에 상대평가는 타 집단과의 성적의 비교가 어느 정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학업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는 알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제가 대학교를 다닐 때는 상대평가를 했었는데요. 지금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는 알 수가 없네요.
오늘은 학업을 평가하는 데 요긴하게 사용되는 절대평가 상대평가 차이, 그리고 뜻 장단점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각각이 갖고 있는 장단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무엇이 더 낫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감이 있네요.
다만 대학교 입학 시험처럼 한 집단에서 순위를 매기는 방식이라고 한다면 상대평가가 더 유용해보이기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