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이 얕다 사자성어

세상의 모든 것을 아는 체하지만 실제로는 아는 것이 참 적고 지식의 깊이나 수준이 얕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수준이 낮고 얕은 지식을 가리키는 사자성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지식이 얕다 사자성어 한자 뜻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식이 얕다 사자성어

지식이 얕다 사자성어

1. 박이부정(博而不精)
널리 알지만 정밀하지는 못함.

2. 과문천식(寡聞淺識)
보고 들은 것이 적고 배움이 얕음.

3. 왜자간희(矮者看戲)
키가 작은 사람이 큰 사람 틈에 끼여 구경은 못하고서 앞사람의 이야기만 듣고 자기가 본 체 또는 아는 체한다는 뜻으로, 자신은 아무것도 모르면서 남이 그렇다고 하니까 덩달아서 그렇다고 하는 것

4. 천견박식(淺見薄識)
얕은 견문과 좁은 지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5. 좌정관천(坐井觀天)
우물 속에 앉아서 하늘을 본다는 뜻으로, 사람의 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이르는 말. 

6. 정중관천(井中觀天)
우물 속에서 하늘을 관찰한다는 것으로, 사람의 견문이 매우 좁다는 뜻.

7. 천학과문(淺學寡聞)
아는 것이 얕고, 들은 것이 적다.’는 뜻으로, 배움이 모자라 지식(知識)이 부족(不足)한 것을 이르는 말.

8. 요동지시(遼東之豕)
요동의 돼지라는 의미로, 잘난 체하다가 무식함이 들통이 날 때 사용을 함. 요동의 농부가 머리가 흰 돼지를 신기하게 여겨 왕에게 바치려고 하동으로 갔으나, 그곳에서 보니 모든 돼지가 머리가 희어 무안을 느끼고 돌아왔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는 세상을 좁게 본 사람이 잘난 체하다가 오히려 자신의 무지를 드러내는 상황을 비유한 것이다.

9. 반문농부(班門弄斧)
자신의 실력도 헤아리지 아니하고 어떤 일을 하려고 당치 아니하게 덤비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 기계를 잘 만드는 반수(班輸)라는 사람을 흉내 내어, 그의 집 문 앞에서 도끼를 가지고 기계를 만들려고 한 어리석은 사람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10. 하충빙어(夏蟲語氷)
여름에만 사는 벌레가 어찌 얼음에 대해 말할 수 있으랴는 뜻으로, 식견이 좁은 사람을 비유하는 말.

11. 고루과문(孤陋寡聞)
하등의 식견도 재능도 없음

12. 독학고루(獨學孤陋)
스승이 없이, 또는 학교에 다니지 아니하고 혼자서 공부한 사람은 견문이 넓지 못하여 생각이 좁고 천박함을 이르는 말.

13. 관중규표(管中窺豹)
대롱 구멍으로 표범을 보면 표범의 얼룩점 하나밖에 보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견문과 학식이 좁음을 이르는 말.

14. 이관규천(以管窺天)
대롱으로 하늘을 엿본다는 뜻으로, 사람의 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이르는 말

15. 자성제인(子誠齊人)
견문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공손추가 ‘관중’과 ‘안자’만을 강하다고 알고 있어서 맹자가 그에게 ‘자네는 참으로 제나라 사람이로다.’라고 했다는 말에서 유래함.

16. 촉견폐일(蜀犬吠日)
식견이 좁은 사람이 현인(賢人)의 언행을 의심하는 일을 비유하는말. 중국 촉나라는 산이 높고 안개가 항상 짙어서 해가 잘 보이는 날이 드물기 때문에 개들이 해를 보면 이상히 여겨 짖었다는 일화에서 유래함.

17. 천학비재(淺學菲才)
학문이 얕고 재주가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자기 학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18. 천학단재(淺學短才)
학문이 얕고 재주가 변변치 않다는 의미로, 자기 학식을 겸손히 일컫는 말.

주의해야 할 부분이 천한비재나 천학단재라는 그 말 자체는 학뭍이 얕다는 것이지만, 속뜻은 겸손함이 담긴 표현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