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먹다 쳐먹다 중 맞는 말은?

일상에서 뭔가를 먹다를 속되게 이르는 표현은 ‘처먹다’로 적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쳐먹다’로 쓰는 것이 맞을까요? 오늘은 밥을 처먹다 쳐먹다 중 올바른 맞춤법 표현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처먹다 쳐먹다

1. 처먹다 쳐먹다 맞춤법

올바른 표현은 ‘처먹다’라고 해야 맞습니다.

  • 처먹다 (O)
  • 쳐먹다 (X)

‘처’와 쳐’ 중에서 올바른 접두사는 ‘처-‘로, 일부 동사의 앞에서 ‘마구’, ‘많이’의 뜻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먹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은 ‘처먹다’라고 적습니다.

(예) 그만 좀 처먹어 (O)
(예) 그만 좀 쳐먹어 (X)

(예) 나잇살 처먹고 잘하는 짓이다 (O)
(예) 나잇살 쳐먹고 잘하는 짓이다 (X)

(예) 밥 처먹어라 (O)
(예) 밥 쳐먹어라 (X)

참고로 한국어에 '쳐먹다'라고 하는 동사는 아예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쳐-'로 시작하는 접두사도 존재하지 않지요.

쳐먹다 (X) 
쳐- (X)

2. ‘처-‘ 쓰임새

「접사」 처-
(일부 동사 앞에) ‘마구’, ‘많이’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예시

① 처넣다
마구 집어넣다.

② 처대다
함부로 불에 대어서 살라 버리다.

③ 처담다
마구 잔뜩 담다

처박다
매우 세게 박다.

예시로 든 동사들 외에 다양한 동사들이 존재합니다.

그렇다면 ‘처먹다’는 정확히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3. 처먹다 뜻

1) 욕심 사납게 마구 먹다

– 나도 피자 한 판 마음껏 처먹으면 소원이 없겠다.
– 아기 강아지는 사료를 정신없이 처먹었다.
– 호박고구마를 급히 처먹다가 체하고 말았다.

2) (속된 말로) 음식 따위를 입을 통하여 배 속에 들여보내다

– 야 그만 좀 처먹어.
– 아니, 칼국수를 다섯 그릇이나 처먹고도 또 먹네.
– 상철은 아침부터 술을 처먹고는 자고 있다.

3) (속된 말로) 일정한 나이에 이르거나 나이를 더하다

– 나이를 처먹다
– 야, 사람이 서른 살이나 처먹었으면 사람 구실을 좀 해라.

– 나잇살 처먹고 그게 뭐냐?
– 나이를 그렇게 처먹고도 정신을 못 차렸네.

4) (속된 말로) 욕, 핀잔 따위를 듣거나 당하다

– 욕을 처먹다
– 핀잔을 처먹다

– 진수는 평소 이상한 언행으로 뒤에서 욕을 엄청 처먹고 다닌다.
– 아무 잘못 없는데 괜히 나만 욕 처먹었네.

5) (속된 말로) 수익이나 이문을 차지하여 가지다

– 혼자 다 처먹으려다가 결국 철창신세구나.
– 그는 혼자 이윤을 모두 처먹고 해외로 도주하였다.

– 뇌물을 받아 처먹다.
– 우리 회사에서 돈을 받아 처먹은 사람이 구속되었다.

6) 귀나 코가 막혀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다. 

– 귀를 처먹었나 왜 말을 못 알아 듣지?
– 얌마, 귓구멍을 처먹었냐? 대구 좀 해라.

4. 띄어쓰기

밥처먹다 (X) -> 밥(을) 처먹다 (O)

우리말에 욕처먹다 (X), 밥처먹다 (X) 동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밥 처먹다’처럼 띄어 써야 합니다.


오늘은 평소에 자주 사용하면서 ‘쳐’인지, ‘처’인지 헷갈리는 맞춤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처먹다’가 맞는 단어임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