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실명제가 실행된 이후에 보통 개인은 실명으로 된 은행계좌를 개설할 수 있는데요. 누군가는 간혹 ‘은행 구좌 번호’로 부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은행 계좌 번호가 맞을까요? 구좌번호가 맞을까요? 은행 계좌 구좌 번호 차이점 관련해 살펴보겠습니다.
계좌 구좌 번호 차이점
‘은행 구좌(口座)’와 ‘은행 계좌(計座)’는 모두 동일한 표현입니다. 두 단어 모두 금융 기관에 예금하려고 설정한 개인명이나 법인명의 계좌라는 뜻으로 쓸 수가 있습니다.
다만 구좌(口座)는 일본어투의 말로 순화된 말이 ‘계좌’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예금 구좌보다는 계좌로 부르시는 게 더 적절한 말입니다.
일본어투 표현에 대해서 국립국어원은 종종 ‘국어순화자료집’을 통해서 순화어를 제시하는데요.
1991년에 발간된 국어순화자료집에 의하면 구좌(口座)는 일본식 한자어이기 때문에 ‘계좌’로 바꿔서 쓰라고 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그치는 게 아니라, 2005년 2019년에도 일본어투 용어에 ‘구좌’가 올라있습니다.
구좌는 여전히 표준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이한 점은 여전히 ‘구좌’는 표준어에 올라있다는 사실입니다.
한국어의 표준어 기준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냐는 것입니다. 그러니 구좌 역시 표준어로 보기는 봐야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순화어가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되도록 공문서 등에서 되도록 계좌로 바꿔 써야할 것입니다.
계좌(計座) 뜻
금융 기관에 예금하려고 설정한 개인명이나 법인명의 계좌
– 월급날이라 계좌로 돈이 들어왔다.
– 물건 값을 입금하기 위한 계좌번호를 불러주세요.
– 저축을 위해서 은행에서 새 계좌를 하나 개설했습니다.
– 인터넷 뱅킹으로 계좌이체를 완료하였습니다.
– 제 계좌로 잘못된 금액이 입금되어서 은행에 연락을 취했다.
– 사용하지 않는 계좌는 해지하거나 정리하는 게 좋습니다.
– 매달 공과금이 계좌에서 자동이체로 빠져나갑니다.
– 계좌의 잔액이 부족해서 결제에 실패했습니다.
오늘은 은행 계좌와 구좌의 뜻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뜻은 동일하지만 ‘구좌’는 일본어식 한자이고, 계좌가 순화어라는 점을 알아두시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