됐습니다 됬습니다 – 맞춤법

보고서가 완료 ‘됐습니다’ 또는 ‘됬습니다’. 일상에서 발음은 동일한데 철자가 헷갈리는 표현 중에 됐습니다와 됬습니다가 있는데요. 오늘은 됐습니다 됬습니다 중 바른 표현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됐습니다 됬습니다

1. 됐습니다 됬습니다 맞춤법

  • 보고서가 완료 됐습니다 (O)
  • 보고서가 완료 됬습니다 (X)

둘 중에서 ‘됐습니다’라고 해야 맞습니다.

그 이유는 ‘되었습니다‘의 줄이면 ‘됐습니다‘가 되기 때문입니다.

되었습니다 – 됐습니다

‘됬습니다(X)’는 한국어에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 표현입니다.

2. 되다 – 모음과 결합

한국어의 용언은 변하지 않는 ‘어간’과 활용이 가는한 ‘어미’로 나뉘게 됩니다.

되다 – 되 (어간) + 다 (어미)

되다의 경우 ‘되-‘가 어간이 됩니다.

이 뒤에 ‘-어’나 ‘-었’ 등의 모음과 결합하여 활용되면 아래처럼 변하게 됩니다.

되- (어간) + -어 -> 되어 -> 돼

이런 형태의 변화 과정을 겪으면서 최종적으로 ‘됐습니다’로 되는 겁니다.

그럼 다른 변화 형태도 한 번 알아볼까요?

  • 돼서 (O) / 되서 (X)
  • 됐고 (O) / 됬고 (X)
  • 됐어요 (O) / 됬어요 (X)
  • 됐으니까 (O) / 됬으니까 (X)

다시 한 번 어간 ‘되-‘가 모음 ‘-어’를 만나면 ‘되어‘가 줄어들어 ‘‘가 된다는 것을 상기시켜드리며, ‘됬습니다(X)’는 아예 없는 말이라는 점 잊지 마세요.

3. 되다 – 자음과 결합

참고로 어간 ‘되-‘가 자음과 결합하면 그대로 결합하여 축약 현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 되 + 고 -> 되고
  • 되 + 니 -> 되니
  • 되 + 면 -> 되면

그래서 아래처럼 활용이 됩니다.

  • 되거든요 (O) 돼거든요 (X)
  • 됩니다 (O) 됍니다 (X)

4. ‘되’와 ‘돼’ 구별 문제

(예) 사람이 좀 [되라 / 돼라]

정답은 ‘‘입니다.

(예) 할머니께서는 손주가 법조인이 [되니 / 돼니] 정말 기뻐하셨다.

정답은 ‘‘입니다.

5. 됬습니다

틀린 말, 아예 없는 표현.


오늘은 평소에 매우 헷갈리는 됐습니다 됬습니다를 살펴보았는데요.

되다가 모음 ‘어/었’과 결합하여 줄어드는 형태 ‘돼’와 ‘됐’이 되는 경우를 잘 구별해두시면 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