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시 띄어쓰기

어떤 일이 발생할 때를 의미하는 발생시는 ‘발생시’로 붙여쓰기를 해야 할까요? 아니면 ‘발생 시’로 띄어 쓰는 것이 맞을까요? 오늘은 일상에서 매우 헷갈리는 발생 시 발생시 띄어쓰기 맞춤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발생시 띄어쓰기

1. 발생시 띄어쓰기

‘시(時)’는 어떤 일이나 현상이 일어날 때나 경우를 의미하는 의존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쓰기를 해야 합니다.

  • 발생 시 (O)
  • 발생시 (X)

따라서 ‘발생 시’로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예) 보험 가입 시에는 보험의 성격을 명확히 이해하고 가입해야 합니다.

(예) 쇼핑몰 제작 시 알아두면 좋은 팁이 있습니다.

2. 시 쓰임새

「명사」 사람이 태어난 시각

– 태어난 시가 매우 좋다.

– 태어나는 시를 맞추어 제왕절개를 하였다.

– 자네는 태어난 시가 언제인가?

 「의존 명사」 차례가 정하여진 시각을 이르는 말.

– 나는 늦어도 오전 아홉 시에는 일어난다.

– 열 시 정각에 알람이 울렸다.

– 형식은 오전 여덞 시까지 출근을 한다.

– 지금이 몇 시인가요?

「의존 명사」 (일부 명사나 어미 '~을' 뒤에 ) 어떤 일이나 현상이 일어날 때나 경우.

– 법규를 위반할 시 징계위원회에 회부가 된다.

– 화재 발생 시에는 즉시 119에 전화를 하십시오.

– 엘리베이터 안에서 통화 시에는 조금 조용히 해 주세요.

– 핸드폰을 분실 시에는 통신사에 분실 신고를 하는 게 우선입니다.

– 비행 시 스마트폰을 탑승 모드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 부동산 재개발 투자 시 절세 요건을 알아두는 것이 필요하다.

– 운동 시 감기 증상이 있다면 운동을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3. 예외

참고로 너무 자주 사용되어 하나의 단어로 굳어진 표현들이 있습니다. 이 단어들의 경우는 한 단어이므로 띄어쓰기를 하지 않습니다.

비상시 / 발화시 / 유사시 / 평상시 / 필요시 / 사건시

비상시 (非常時)
뜻밖의 긴급한 사태가 일어난 때.

평상시 (平常時)
특별한 일이 없는 보통 때.

유사시 (有事時)
급하거나 비상(非常)한 일이 일어날 때.

발화시 (發話時)
말하는 이가 말을 시작하는 때.

사건시 (事件時)
문장이 나타내는 사건이 일어나는 시점. 시간과 관련되는 문장을 설명할 때 쓰는 말.

필요시 (必要時)
반드시 요구될 때.


오늘은 발생시의 띄어쓰기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한 단어로 굳어진 몇 개의 단어를 제외하고는, 시는 의존명사이므로 기본적으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Leave a Comment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