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방편이란 갑자기 터진 일을 우선 간단하게 둘러맞추어 처리한다는 말인데요. 한자성어 중에 임시방편과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오늘은 임시방편 사자성어 뜻 한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임시방편 사자성어
1. 고식지계 (姑息之計)
姑 : 시어미 고, 息 : 숨쉴 식, 之 : 갈 지, 計 : 꾀할 계
우선 당장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한때의 안정을 얻기 위하여 임시로 둘러맞추어 처리하거나 이리저리 주선하여 꾸며 내는 계책을 이른다. 동일한 말로는 ‘고식책(姑息策)’이 있음.
2. 목전지계 (目前之計)
目 : 눈 목 前 : 앞 전 之 : 갈 지 計 : 꾀할 계
눈앞에 보이는 한때만을 생각하는 꾀
3. 임시변통 (臨時變通)
臨: 임할 임 時 : 때 시 變 : 변할 변 通 : 통할 통
갑자기 터진 일을 우선 간단히 둘러맞춰 처리.
( = , 임시방편, 임시배포, 임시처변 )
4. 임시방패(臨時防牌)
臨 : 임할 임 時 : 때 시 防 : 막을 방 牌 : 패 패
갑자기 터진 일을 우선 간단히 둘러맞춰 처리.
5. 임시배포(臨時排布)
臨 : 임할 임 時 : 때 시 排 : 물리칠 배 布 : 베 포
갑자기 터진 일을 우선 간단히 둘러맞춰 처리.
6. 하석상대(下石上臺)
下 : 아래 하 石 : 돌 석 上 : 위 상 臺 : 누대 대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괸다는 뜻으로,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둘러맞춤을 이르는 말. 동일한 표현으로는 상석하대(上石下臺)가 있음.
7. 상하탱석(上下撐石)
上 : 위상 下 : 아래 하 撐 : 버팀목 탱 石 : 돌 석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괸다는 뜻으로, 몹시 꼬이는 일을 당하여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맞추어서 겨우 유지해 감을 이르는 말.
8. 권의지계(權宜之計)
權 : 저울추 권 宜 : 마땅할 의 之 : 갈 지 計 : 꾀할 계
‘일관성 없이 즉흥적이고 편의적으로 바뀌는 계책’라는 뜻으로 삼국지에서 나온 고사이다.
9. 미봉지책 (彌縫之策)
彌 : 꿰맬 미 縫 : 꿰맬 봉 之 : 갈 지 策 : 꾀 책
눈가림만 하는 일시적인 계책. 줄임말로 ‘미봉책’이 더 유명하다.
10. 동족방뇨(凍足放尿)
凍 : 얼 동 足 : 발 족 放 : 놓을 방 尿 : 오줌 뇨
언 발에 오줌 누기라는 뜻으로, 잠시 동안만 효력이 있을 뿐 효력이 바로 사라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융통성이 뛰어나다
아래에서 살펴볼 사자성어는 즉각 그 자리에서 결정하거나 처리한다는 의미인데요. 앞에서 살펴본 사자성어들과는 조금 다른 점이 있습니다.
사람이 보통 늘 원칙만 고수할 수가 없습니다. 상황은 변하기 마련이니까요.
그래서 때에 맞게 적절하게 잘 일을 처리했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사자성어들입니다.
1. 임기응변 (臨機應變)
臨 : 임할 임 機 : 틀 기 應 : 응할 응 變 : 변할 변
그때그때 처한 상황에 맞춰 즉각 그 자리에서 결정하거나 처리함.
앞에서 살펴본 '임시변통, 임시방패, 임시방편' 따위의 말은 보통 부정적인 뉘앙스가 강합니다. 하지만 임기응변은 오히려 뛰어난 순발력을 강조하는 듯한 긍정적인 뉘앙스가 있으니 사용하실 때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 임기응변에 능하다
– 임기응변으로 위기를 넘겼다.
2. 임시응변(臨時應變)
臨 : 임할 임 時 : 때 시 應 : 응할 응 變 : 변할 변
그때그때 처한 상황에 맞춰 즉각 그 자리에서 결정하거나 처리함.
3. 수기응변(隨機應變)
隨 : 따를 수 機 : 틀 기 應 : 응할 응 變 : 변할 변
그때그때의 기회에 따라 일을 적절히 처리함.
4. 수시응변(隨時應變)
隨 : 따를 수 時: 때 시 應 : 응할 응 變 : 변할 변
그때그때 변하는 대로 따라 함.
오늘은 일상에서 부정적으로 사용되는 임시방편 사자성어와 뛰어난 순발력이 더 강조된 느낌의 임기응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각 사자성어들을 잘 구별해두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