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주는 곰이 부리고 속담 – 사자성어

일상에서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이 받는다는 속담을 들어보신 적이 있을 텐데요. 정확한 속담은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정확한 재주는 곰이 부리고 속담 및 해당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재주는 곰이 부리고 속담

1. 재주는 곰이 부리고 속담

많은 분들이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되놈이 받는다’로 알고 있는데요.

공식적으로 올라와 있는 속담은 아래와 같습니다.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되놈이 받는다

여기서 ‘재주를 부리다’ 또는 ‘재주 넘다’는 사람으로 치면 개인기를 보여주는 것을 의미하고요.

여기서 되놈은 중국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입니다.

되놈 대신에 ‘주인이 / 왕서방이 / 호인이 받는다’로도 활용이 됩니다.

곰이 개인기를 열심히 보여 주어 번 돈을, 곰의 주인이 가져갔다는 것입니다.

2.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되놈이 받는다 뜻

수고하여 일한 사람은 따로 있고, 그 일에 대한 보수는 다른 사람이 받는다는 말.

쉽게 말하면 ‘일한 놈 따로, 돈 버는 놈 따로’라는 것이지요.

일한 사람 대신 엉뚱한 사람이 이득을 본다는 안타까운 의미가 있습니다.

3. 재주는 곰이 부리고 사자성어

좌향기성 (坐享其成)

재주는 곰이 부리고 사자성어로는 ‘좌향기성’을 들 수 있습니다.

좌향기성이란 가만히 앉아서 남이 성공한 것을 누린다는 것입니다.

좌향기성 한자
坐 : 앉을 좌
享 : 누릴 향
其 : 그 기
成 : 이룰 성

4. 좌향기성 유래

좌향기성은 《맹자(孟子)》 〈이루하(離婁下)〉 ‘소오어지자장(所惡於智者章)’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는데요.


맹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천하에서 사람의 타고난 성격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이미 이루어진 결과를 갖고 후에 떠드는 것에 지나지 않으니, 이루어진 결과는 순리를 바탕으로 한다.

지혜로운 사람을 미워하는 이유는 미워하는 자들이 지혜에 너무 매몰되어 있기 때문이다.

만약 지혜로운 자가 옛 우임금이 물을 트는 것처럼 했다면 미워할 일이 전혀 없다.

우임금이 물을 흘려 보낼 때는 막히지 않는 데로 하였는데 지혜로운 자 역시 그 흐름대로 하면 그의 지혜 역시 크다고 할 수 있다.

하늘은 높고 별은 멀리에 있지만 순수하고 바르게 이루어진 것대로 연구하면 천 년 뒤의 동지(24절기 중에 하나)라도 가만히 앉아서 가늠할 수 있다.


뒤에 있는 ‘가좌이치야(可坐而致也)’는 원래 가만히만 있어도 쉽게 알 수 있다는 뜻이었는데 그것이 오늘날 좌향기성(坐享其成)이 되면서 의미가 변질되어 가만히 있어도 남이 이룩한 것을 누린다는 의미로 바뀌었습니다.


오늘은 평소에 궁금해하셨던 재주는 곰이 부리고 속담과 해당 사자성어를 알아보았는데요.

학창시절에는 누군가 나의 공을 가로채는 일이 없지만 사회생활에서는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실제로 이런 부류의 사람을 본 적이 있는데요. 되도록 멀리하시고 자신의 것을 지킬 수 있는 힘을 기르시길 바랍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