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아무리 노력해도 큰 실익이 없을 때가 많습니다. 하는 족족 다 성공하면 좋겠지만 인생이 그리 간단한 것 같지는 않지요. 이런 상황을 일컫는 노이무공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오늘은 노이무공 뜻 유래 한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노이무공 뜻
노이무공이란 애는 썼으나 보람이 없음을 뜻하는 말입니다.
쉽게 말하면 노력했는데 그에 걸맞는 성과가 없다는 것이지요. 공부를 열심히 했는데 반에서 10등도 못하면 큰 보람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짝사랑하는 사람에게 고백하려고 나름 준비했지만 거절당했다면 그 또한 성과가 없는 것입니다.
저는 어리석었던 것일까요? 개인적으로 과거에는 노력하면 다 된다고 믿었습니다.
지금은 나이가 먹어서인지는 모르지만 노력해도 세상에 안 되는 일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실패에 대해서 관대해지게 된 것 같습니다.
안 되는 일에 억지로 노력하지 마세요. 자신의 재능이 또는 인연이 다른 곳에 있을 수 있으니까요.
2. 노이무공 한자
勞 : 수고로울 로
而 : 말이을 이
無 : 없을 무
功 : 공 공
3. 유래
노이무공는 꽤 여러 군데서 발견되는 말입니다. 옛 성인들도 노력했지만 성과가 없는 것에 대해서 생각을 해본 것 같습니다.
< 관자(管子) > 형세편(形勢篇)
옳지 아니한 것의 편에 서지 말라. 할 수 없는 것을 강제로 하게 하지 말라. 잘 알지도 못하는 사람에게 굳이 말하지 말라.
이런 것을 일컬어 수고로운데 공이 없다고 한다.
< 순자(荀子) > 정명편(正名篇)
어리석은 사람의 말은 들어보면 막연하여 핵심을 알기 어렵고, 통일성도 없이 번잡스럽게 떠들어대기만 한다. 말은 많은데 꼭 필요한 이치가 없으니, 수고로운데 공이 없다.
< 장자(莊子) > 천운편 (天運篇)
공자가 서쪽에 있는 위나라에 갔던 때의 일입니다.
제자 안연은 노나라의 악사였던 사금에게 이렇게 묻습니다.
‘제 스승께서 위나라에 가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낭비라고 생각합니다. 당신의 스승께서는 난관을 겪게 될 것입니다.’
‘왜 그렇게 생각하십니까?’
중략.
‘물을 건너는 데는 배만한 것이 없고, 땅에서는 수레만 한 것이 없지요. 물에 적합한 배를 육지에서 밀고 가려면 평생가도 얼마 가지 못할 겁니다.
옛날과 지금은 물과 육지만큼의 차이라고 할 수 있으며, 주나라와 노나라는 배와 수레의 격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 주나라의 법을 갖고 노나라에서 시행하려고 하는 것은
마치 배를 육지에서 미는 것과 다를 게 없으니,
수고만 할 뿐 공이 없고 반드시 자신에게 화가 있을 것입니다.’
4. 비슷한 말
– 도로무공(徒勞無功)
헛되이 애만 쓰고 아무런 보람이 없음.
헛되이 애만 쓰고 보람이 없다는 고사성어 노이무공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가끔은 내가 잘못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