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면초가 뜻 유래 – 한자 예문 속뜻

사자성어 사면초가에는 매우 흥미로운 고사 하나가 전해져 내려오는데요. 사면초가는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고사성어 사면초가 뜻 및 유래와 한자, 예문 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사면초가 뜻

1. 사면초가 뜻

직역하면 겉뜻은 ‘사방이 초나라의 노래‘라는 의미인데요.

이것이 의미하는 사면초가 속뜻은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로운 고립의 상태에 빠졌다는 의미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중국 역사 소설 중에 삼국지와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초한지인데요.

사면초가는 초한지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 하나가 전해져 내려옵니다.

한자
四 : 넉 사
面 : 낯 면
楚 : 가시나무 초
歌 : 노래 가

2. 유래

역사적 배경은 중국 최초의 통일국가인 진나라의 통일 이후, 진에 의해 백성들이 억압받는 상황으로 인해 곳곳에서 반란을 일으키던 때입니다.

반란은 점차 두 세력으로 간추려졌으니, 바로 초나라의 귀족 출신인 항우가 이끄는 군대와 세력을 키워 올라온 한나라의 유방이 이끄는 군대였습니다.

처음에는 항우가 우세한 것처럼 보였으나 결국에는 유방으로 세가 기울게 됩니다.

둘은 천하를 양분하는 조건으로 휴전을 하고 각자의 도읍으로 철수하기로 합니다.

그런데 이때 유방의 참모였던 장량이 철수하는 항우를 잡자는 아이디어를 내게 되고, 갑작스러운 공격에 항우는 패하고 포위를 당하게 됩니다.

이때 유방의 충직한 부하, 한신이 해하에서 항우를 포위하는데요.

그렇게 성 안에서 버티고 버티던 어느 날, 사방에서 초나라의 노래가 들려왔습니다.

군인들은 고향의 노래를 듣자 향수에 젖어 도망치기 시작했고, 그 노래를 들은 항우는 이런 짐작을 하기에 이릅니다.

적진에서 초나라 사람들이 이렇게 많단 말인가.

유방이 이미 초나라까지 점령했나보군.

초나라를 완전히 무너뜨린 이 아이디어는 바로 장량의 아이디어로, 고도의 심리전으로 군사들은 도망을 가고 항우는 심한 고립감을 느끼게 됩니다.

결국 항우는 패했다고 생각했고, 슬픈 감정을 담아 아래의 노래를 읊습니다.

힘은 산을 뽑아내고, 기개는 세상을 덮었는데

시기가 불리하고 오추마가 나아가지를 않는구나.

오추마가 가지를 않으니 이를 어찌할꼬.

우희야, 우희야, 이를 어찌하면 좋겠느냐.

<해하가>

이 노래를 들은 항우의 애첩이던 우희는 항우가 전쟁에만 몰두하기를 바라는 마음에 스스로 자결하였고, 항우는 끝까지 항전을 했으나 결국 추격하는 부대에게 잡히지 않기 위해 몸을 던집니다.

귀족 집안에서 자라 나름 승승장구했던 항우는 사면에서 들려오는 초나라 노래소리에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바로 여기에서 누구에게도 도움을 받을 수 없는 고립무원의 처지를 일컫는 사면초가라는 사자성어가 유래하게 되었습니다.

3. 사면초과 사면초가?

종종 사면초가를 ‘사면초과’로 잘못 적으시는 분들이 있는데요.

뒤에 오는 한자가 歌(노래 가)라는 점을 잊지 마세요.

  • 사면초가 (O)
  • 사면초과 (X)

4. 예문

– 그들의 군대는 사면초가에 빠졌다.

– 사면초가의 상황에 놓이다.

– 지금은 사면초가의 형국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사면초가의 위기에 빠지다.

– 지금은 사방이 적으로 그야말로 사면초가였다.


오늘은 제가 매우 좋아하는 초한지의 사자성어 사면초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요즘 청년들의 고독사가 대한민국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요. 아무도 모르게 죽어가는 청년들이야말로 사면초가의 상태는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