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해 뜻 와해되다, 와해된 언어 의미

가끔 신문에서 ‘와해된 조직’ 내지는 ‘와해 수순을 밟다’ 이런 말을 볼 수가 있습니다. 한국어 와해는 무슨 뜻일까요? 오늘은 와해 뜻, 예문과 얼마 전부터 오르내리는 와해된 언어라는 표현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와해 뜻

1. 와해 뜻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와해라는 것은 기와가 깨진다는 의미로, 조직 또는 계획 따위가 산산이 무너지고 흩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자어로 瓦(기와 와), 解(풀 해)를 쓰는데요. 기와는 한국에서 지붕을 이는 데 쓰기 위한 건축 자재입니다.

그런데 지붕에 잘 놓여있어야 할 기와가 풀어졌다고 생각해보세요. 와르르 지붕이 무너지겠지요. 그래서 일부러 썸네일을 붕괴되는 건물을 써 본 것입니다.

2. 한자

瓦 : 기와 와
解 : 풀 해

3. 와해되다? 와해하다?

와해되다 / 와해하다 모두 표준어입니다.

다만 와해되다는 어떤 세력이나 압력에 의해서 어쩔 수 없이 당한다는 의미가 조금 더 강하고, 와해하다의 경우는 능동적으로 뭔가를 무너뜨렸다는 의미가 조금 더 첨가되어 있습니다.

쉽게 맞았느냐, 때렸느냐 정도의 차이인 것이지요.

4. 예문

– 신분제가 와해되었다.

– 내홍으로 와해되는 수뇌부를 보면 참 가슴이 답답하다.

– 남편과 아내가 극적으로 화해하여 가정이 와해하는 위기는 면했다.

– 검찰은 폭력 조직을 와해하였다.

– 형님, 와해되는 위기는 막아야 될 것 같습니다.

5. 와해된 언어 무슨 뜻일까

최근 묻지마 범죄가 꽤나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끔 가해자로 조현병 환자인 경우가 있어서 사람들의 조현병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데요.

조현병은 과거에 정신분열증이라 부르던 것으로, 환각, 망상, 행동이상 등의 특징을 나타냅니다.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게 바로 와해된 언어인데요.

보통 사람이 횡설수설한다고 하지요. 대화라는 것은 보통 어떤 목적을 갖고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밥은 먹었어?' 

'응, 먹었지. 너는?'

단순해 보이는 문장이지만 각각 어떤 목적이 있습니다. 안부를 묻는 것이지요.

그런데 조현병 환자의 경우에는 어떤 질문과 답변간의 논리적인 연결성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밥을 먹었는데 버스가 왔다. 바다가 참 시원하다. 하늘이 푸르다. 그런데 왜 추운 거지?

어딘가 이상하지요. 논리적인 연결성이 붕괴되어 있는 상태로, 단어를 횡설수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렇게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고 논리적 연결성이 붕괴되어 있는 말을 와해된 언어라고 합니다. 언어가 사람들 사이에서의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붕괴되어 있는 것이지요.


오늘은 평소에 와해된 조직, 언어 등에서 사용되는 와해되다의 뜻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기보다는 보통 부정적인 뉘앙스가 들어간 표현이라는 것까지 함께 기억해 두시면 도움이 많이 되실 것 같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