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상시보다도 술마실 때 자꾸 담배가 훨씬 땡기는 경험을 많이 합니다. 이는 단순히 습관의 문제라기보다는 알코올과 니코틴이 뇌와 몸에 미치는 작용 때문인데요. 오늘은 술마실때 담배가 자꾸 피고 싶은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술마실때 담배가 자꾸 땡기는 이유
술을 마실 때 도파민이 증가합니다. 쾌감을 주고 또 긴장을 풀어주게 됩니다. 그런데 담배의 주된 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 ‘니코틴’ 역시 도파민을 자극하게 되거든요.
술과 담배가 동시에 당기는 현상은 뇌에서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도파민은 우리가 즐거움을 느낄 때 활성화되는 물질로, 알코올과 니코틴 모두 도파민 분비를 촉진합니다.
술을 마시면서 담배를 피운 경험이 있다면 그때의 강렬한 도파민 분비의 경험 때문에 또 다시 이 행위를 반복하게 되는 것입니다.
나도 모르게 그때의 경험이 뇌에 각인이 되면서 도파민을 갈구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지요.
또 흥미롭게도, 담배는 약간의 각성효과를 주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술이 깨는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그래서 피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하지만 그것은 일시적일뿐 술이 깨는 것은 아닙니다.
의존도
타고난 의존도라는 것도 존재합니다. 알코올 중독 가정에서 자란 자녀가 알코올 중독이 되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타고난 의존도라는 게 존재해서 누구는 술을 마셔도 의존을 잘 하지 않지만, 유전적으로 의존도가 높은 사람이 존재합니다.
니코틴 역시 마찬가지인데요. 의존도가 높은 사람일 수록 술을 마시고 더 많은 니코틴을 원하게 되지요.
금연, 술자리를 피해야
보통 새해가 되면 다들 금연을 해야지 다짐합니다. 저도 그런 사람인데요. 금연을 하고 싶다면 최대한 술자리를 피하시기를 바랍니다.
뇌는 도파민이라는 보상을 얻고자 ‘술자리’를 ‘담배’를 피웠던 경험과 연관을 시키게 되는데요. 이것은 무의식적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금연을 하고 싶다면 무조건 술자리를 피해야 합니다. 나도 모르게 뇌가 그렇게 원하게 될 테니까요.
알코올이 들어가게 되면 이성적 판단이나 제어가 잘 안 되기 때문에 또 다시 담배에 손을 댈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금연은 단순히 담배를 끊는 것이 아니라, 흡연을 떠올리는 술자리와 같은 환경 등을 변화시키는 과정입니다. 금연 초기에는 술자리 참석을 최대한 피하고, 건강한 대안을 찾는 게 훨씬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