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만큼 과학적이고 읽고 쓰기 쉬운 언어가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가끔 발음하기 어려운 단어들이 있습니다. 대관령 발음은 [대괄령]이 맞을까요? 아니면 [대관녕]이 맞을까요? 오늘은 대관령 발음 규칙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대관령 발음
올바른 표준 발음은 [대괄령]이라고 해야 합니다.
- 대괄령 O
- 대관녕 X
표준발음법 제20항을 보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제20항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일반적인 한국어의 음운 규칙은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음가로 발음을 한다는 것입니다.
‘대관령’을 보면 ‘령’, 즉 ‘ㄹ’의 앞에 ‘ㄴ’이 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대괄령]이 된 것입니다.
이와 비슷한 예로 ‘광한루’를 들 수가 있습니다.
‘광한루’에서 ‘한’의 ‘ㄴ’이 있고, 다음에 ‘ㄹ’이 옵니다. 그러므로 [ㄹ]로 발음을 해서 [광할루]로 발음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 광한루 [광할루]
- 대관령 [대괄령]
- 신라 [실라]
같이 기억하시면 암기에 도움이 됩니다.
그런데 이게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언제까지나 현실의 발음(많이 사용하는 것)이 더 우선이 됩니다.
생산량의 표준 발음은?
[생산냥]이 표준 발음입니다.
- 생산냥 O
- 생살량 X
아까와 비슷한 상황인데, 이 경우는 뒤에 오는 ‘ㄹ’이 앞의 ‘ㄴ’의 영향을 받아서 ‘ㄴ’으로 변했습니다.
아까는 ‘ㄹ’ 영향으로 ‘ㄹ’이 되고,
지금은 ‘ㄴ’ 영향을 받아서 ‘ㄴ’이 되는 거죠.
보시는 것처럼 표준 발음 규칙은 늘 절대적인 게 아닙니다. 경우에 따라서 예외가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생산냥]와 같은 발음을 같는 것들을 조금 공통점을 찾자면,
독립적으로 쓸 수 있는 2음절 한자어가 들어가 있다는 겁니다. 물론 이것 또한 절대적이지는 않습니다.
2음절 한자어 생산-량 [생산냥] 결단-력 [결딴녁]
또 발음규칙은 규칙일 뿐, ‘현실 발음’을 더 우선으로 하기도 합니다.
오늘은 대관령 발음 [대괄령]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표준발음 제20항이 적용되어 ‘ㄹㄹ’로 영향 받는 것이었고요.
추가로 이것과 다르게 뒤에 있는 ‘ㄴ’음가의 영향을 받아서 ‘ㄴㄴ’이 되는 생산량[생산냥]도 있으니 같이 기억해두세요.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