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잘 안 꾸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에 꿈을 자주 꾸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평소에 꾸는 꿈의 스타일과 다른 이상한 꿈을 꿔서, ‘요즘 자꾸 이상한 꿈을 꿔요’ 라고 말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오늘은 왜 자꾸 이상한 꿈을 꾸는지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요즘 자꾸 이상한 꿈을 꿔요, 이유는?
1. 약물 복용 및 부작용
어떤 약물들은 수면 패턴을 변화시키고 꿈을 더욱 선명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항우울제(SSRI 계열)나 항불안제는 렘수면을 증가시키도 합니다.
렘수면(Rem Sleep) 잠을 자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뇌파가 깨어 있는 수면 상태.
보통 꿈은 ‘렘수면’에서 꾼다고 합니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비렘수면’ 시간이 있습니다.
렘수면이 아닌 시간은 모두 ‘비렘수면’에 해당하는데요.
일부 약물로 인해서 일부 혈압약이나 진통제도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면서, 렘수면이 길어지고, 선명하게 꿈이 기억에 남게 되는 것입니다.
약을 복용한 후 이상한 꿈을 자주 꾼다면, 의사와 상담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수면 장애
렘수면 행동장애나 가위눌림 등의 수면 장애를 갖고 있을 수가 있습니다.
먼저 렘수면 행동장애(RBD)는 꿈을 꾸면서 몸이 실제로 움직이는 증상으로, 기괴한 꿈을 동반할 수가 있습니다.
가위눌림은 꿈과 현실이 혼합된 상태로, 환각을 동반하는 악몽을 꾸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증상이 자주 발생한다면 단순한 꿈 문제가 아니라 수면 장애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3.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
자기 전에 커피, 에너지 드링크, 초콜릿 등을 섭취하면 뇌가 완전히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꿈이 더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과음 후 숙취 상태에서는 수면 후반부에 렘수면이 증가하면서 악몽을 꿀 가능성이 높아지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최대한 취침 전에는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 과음을 피하는 것이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커피(카페인) 반감기 카페인의 지속시간, 3~7시간으로 사람마다 다름.
커피 한잔은 무조건 마시는 스타일이시라면 최대한 오후 3시 이전에 드시는 게 좋습니다.
체내에서 커피가 몸에서 빠져 나가는데 걸리는 ‘반감기’가 3~7시간이 걸린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커피가 체내에 많이 남아 있는 스타일이라면 최대 10시간까지도 남아 있다고 하니, 본인에 건강에 맞게 드셔야 합니다.
커피를 마시면 가슴이 두근거리는 지인이 있는데, 그분은 오전에만 마시더군요.
4. 주변 환경 변화
잠자리가 바뀌면 이상한 꿈을 꾸는 게 이상한 것이 아닙니다. 낯선 곳에서 자면 꿈이 더 생생해질 수 있다.
여행 중 호텔이나 처음 가는 장소에서 잘 때, 뇌는 완전히 긴장을 풀지 못해 이상한 꿈을 꿀 수가 있습니다.
또한 잘 때 침실 환경(온도, 조명, 소음)이 바뀌어도 꿈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숙면을 위해 침실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심리적 요인 (무의식 속 감정)
스트레스 외에도, 무의식 속 억압된 감정이나 트라우마가 꿈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무의식적으로 걱정하고 있는 일이 꿈에서 왜곡된 형태로 표현되기도 하지요.
최근 고민하는 일이 있다면, 회피하는 것보다는 최대한 해결을 해서 불안 요소를 제거하시는 게 좋습니다.
6. 생체 리듬과 달의 영향
일부 연구에서는 보름달이 뜰 때 이상한 꿈이나 악몽을 꾸는 비율이 증가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또한, 여성의 경우 생리 주기에 따라 호르몬 변화가 수면 패턴과 꿈의 내용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고 합니다.
요즘 자꾸 이상한 꿈을 꿔요 호소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이유를 정리해보았는데요.
편안한 꿈을 꾸고 싶다면 신체적 안정과 마음의 안정 모두가 중요합니다. 스트레스 관리를 잘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