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토당토않다 띄어쓰기 얼토당토 아니하다 유래

말이 안 되는 상황에서 보통 ‘얼토당토않다’라는 말을 참 많이 씁니다. 들어보기는 했는데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할 때가 있는데요. 오늘은 얼토당토않다 띄어쓰기 뜻 얼토당토 아니하다 유래를 살펴보겠습니다.

얼토당토않다 띄어쓰기

얼토당토않다뜻

전혀 합당하지 아니하다는 뜻입니다.

이치에 맞지 않는 경우에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되는 거죠. 합리적으로 당위성이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하는 말입니다.

① 전혀 합당하지 아니하다.

② 전혀 관계가 없다.

이 단어는 어떻게 띄어 써야 할까요?

얼토당토않다 띄어쓰기

얼토당토아니하다‘의 준말로, 붙여서 써야 합니다.

  • 얼토당토않다 (O)
  • 얼토당토 않다 (X)

예문

– 얼토당토않은 소리는 집어치워 (O)
– 얼토당토 않은 소리는 집어치워 (X)

– 제가 사기를 치다니 얼토당토않습니다요 (O)
– 제가 사기를 치다니 얼토당토 않습니다요 (X)

유래

‘얼’하지도, ‘당’하지도 않는다라고 해서 ‘얼토당토’가 나왔다고 하는데요.

중세국어에서 ‘얼’은 ‘옳다는 의미의 ‘어루’가 줄어든 말이고, ‘당(當)’은 ‘마땅함’을 타나냅니다.

그래서 옳지도 마땅하지도 않다는 것에서 ‘얼토당토’의 어원이 있다고 합니다.


1) 합당하지 않은 상황

연봉 계약을 할 때 우리가 5천을 받고 회사를 다니기로 했습니다. 비록 구두이지만 사장과 면접을 볼 때 이렇게 말이 나왔어요.

그런데 갑자기 계약서를 작성하는 날, ‘4천’이라고 하는 겁니다.

‘아니, 이게 무슨 소리야?’라는 생각이 들면서 매우 화가 나죠. 말이 안 되니까요.

얼토당토않은 소리는 집어치우세요. 

말이 안 되는 상황에서 사용하는 게 ‘얼토당토않다’입니다.

2) 관계없을 때

A : 너 왜 이렇게 늦었어?

B : 얼토당토않은 곳에서 한참을 기다렸지 뭐야.

전혀 관계가 없다는 뜻으로도 얼토당토아니하다를 씁니다.


얼토당토않다는 의미가 2가지인거죠.

전혀 이치에 맞지 않다 / 전혀 관계가 없다.

또한 이 자체로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에 얼토당토않다 띄어쓰기 모두 붙여서 적는다는 점을 주의해서 알아두시기를 바랍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