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는 비교를 좋아해서 모든 게 하나의 스펙화되는데요. 그 중에서도 키 역시 꽤나 민감한 요소로 서열을 나누는 것을 작용합니다. 생리가 시작하면 성장판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오늘은 성장판 닫히면 (생리와 키의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성장판 닫히면
키는 빠른 시일 내에 멈추게 됩니다.
먼저 사람의 성장하는 것의 매커니즘을 알아야 하는데요.
키는 왜 자랄까?
우리 몸의 키는 단순히 뼈가 길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성장판(epiphyseal plate)이라는 아주 특별한 구조 덕분에 자랍니다.
뼈의 양 끝에 연골 조직으로 된 성장판이 존재하는데, 여기가 세포 분열과 연골 길이가 늘어나면서 서서히 뼈를 밀어 올립니다.
그 과정에서 키가 크게 됩니다.
그렇다면 키는 언제까지 자라게 될까요?
키가 멈추는 시기
키는 일정한 시기를 지나면 더 이상 자라지 않아요. 그 이유는 바로 성장판이 닫히기 떄문입니다.
성장판이 닫히면 키는 더이상 크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성별에 따라서 키가 자라다가 멈추는 시기가 다릅니다.
남성 만 17세까지 여성 만 15세까지
여성은 보통 만15세까지는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꼭 이런 생물학적 나이가 아니어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생리 시작하면 키가 멈춘다.
여성의 생리 시작은 이제 1~2년 안에 키가 자라는 것을 멈추는 신호입니다.
생리시작은 2차 성징의 큰 특징인데요.
여성의 생리는 에스트로겐이라고 하는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킵니다. 문제는 이 에스트로겐은 성장판을 닫히게 만든다는 겁니다.
생리 시작 -> 에스트로겐 분비 -> 성장판 닫힘
그리고 1년에서 2년 사이에 성장판이 닫혀버리게 되지요.
그러므로 본인 또는 자녀가 생리를 시작했다면 더 이상의 키는 많이 자라지 않겠구나 생각하시면 됩니다.
성장판은 어떻게 확인할까?
조금이라도 희망을 붙잡고 싶으신 분들은 성장판이 열렸는지 닫혔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검사는 간단합니다. 엑스레이 촬영으로 알 수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키가 더 크고 싶다면 아래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요소 | 설명 |
---|---|
수면 | 성장호르몬은 밤 10시~새벽 2시 사이에 가장 활발하게 분비됨 |
운동 | 줄넘기, 농구, 스트레칭 등 중력 방향 운동이 도움 |
영양 | 단백질, 칼슘, 아연, 비타민D 등 뼈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 섭취 |
스트레스 관리 | 스트레스는 성장호르몬 분비를 억제할 수 있음 |
오늘은 성장판 닫히면 이란 주제를 말씀을 드렸는데요. 여아를 키우고 있다면 이점을 알아두시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