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방을 메다 매다 중 바른 표현은?

무거운 가방을 [메다 / 매다]. 이 문장에서 ‘메다’로 적어야 할까요? 아니면 ‘매다’로 적어야 할까요? 오늘은 발음이 거의 유사하여 틀리기 쉬운 가방을 메다 매다 중에서 올바른 맞춤법은 무엇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방을 메다 매다

1. 가방을 메다 매다?

맞춤법적으로 올바른 표현은 ‘가방을 메다’입니다.

  • 가방을 메다 (O)
  • 가방을 매다 (X)

여기서 ‘매다’는 ‘메다’의 잘못으로 비표준어입니다.

어떤 물건을 어깨네 등에 올려놓는다는 의미의 올바른 동사는 ‘메다‘라고 적어야 맞습니다.

예시

(예) 어깨에 메는 가방이 필요하다 (O)
(예) 어깨에 매는 가방이 필요하다 (X)

(예) 가방을 어깨에 메고 갔다 (O)
(예) 가방을 어깨에 매고 갔다 (X)

(예) 가방을 멨다 (O)
(예) 가방을 맸다 (X)

결론적으로 ‘‘가 맞습니다.

그 외에도 ‘메다’에는 다양한 뜻이 있는데요.

바로 예문과 함께 뜻을 살펴보겠습니다.

2. 메다 뜻

1)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다.

– 군인들은 모두 총을 메고 있었다.
– 너무 무거운 가방을 메니까 허리가 아픈 것 같다.

– 영수는 학교가 끝나면 바로 책가방을 메고 영어 학원을 간다.
– 광수라면 쌀 한 가마니 정도는 거뜬히 수 있지 않을까?

2) 어떤 책임을 지거나 임무를 맡다.

– 상철은 주저하지 않고 대표라는 중책을 메었다.
– 그는 나라의 미래를 메고 간다는 생각으로 독립운동에 임했다.
– 결국 아이들이 장래를 메고 있는 주역임을 잊어선 안 된다.

지금까지 메다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가방을 매다‘도 가능한 상황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어떤 상황에서 ‘매다’가 가능한지 아래에서 매다 예문과 함께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3. 매다 뜻

1) 끈이나 줄 따위의 두 끝을 엇걸고 잡아당기어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다.

– 밧줄을 매다
– 끈을 고쳐 매었다

– 아이는 파란색 대님을 매고 있었다
– 나는 긴장하면 운동화 끈을 고쳐 매는 버릇이 있다.

2) 끈이나 줄 따위로 꿰매거나 동이거나 하여 무엇을 만들다.

– 내가 어렸을 때는 허리에 책을 매고 다녔다.
– 선비는 과거 시험을 보러 가기 위해 여러 개의 붓을 매어 봇짐을 만들었다.

3) 가축을 기르다.

– 아버지는 시골에서 소를 맨다.
– 뒷마당에서 개를 매다.

4) 옷감을 짜기 위하여 날아 놓은 날실에 풀을 먹이고 고루 다듬어 말리어 감다.

– 아낙네는 바삐 베를 메었다

5) 끈이나 줄 따위를 몸에 두르거나 감아 잘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다.

– 작은 가방을 허리에 매고 집을 나섰다.
– 넥타이를 매다
– 전대를 매다

앞서 ‘메다’는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다’의 의미가 있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어깨의 의미가 강조된 경우에는 ‘메다‘를 쓰는데요.

전대처럼 허리에 두르는 경우에는 ‘매다’를 쓸 수 있는 것이지요.

6) 달아나지 못하도록 고정된 것에 끈이나 줄 따위로 잇대어 묶다.

– 뒷마당에 있는 나무에 송아지를 매어 놓다.
– 사람들은 그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의자에 매어 놓았다.

7) 끈이나 줄 따위를 어떤 물체에 단단히 묶어서 걸다.

– 아이들이 다치지 않으려면 그네를 튼튼히 매어 놓아야 한다.
– 목을 매다.

8) 전화를 가설하다.

– 우리집은 다른 집보다 늦게 전화를 매었다.

9) (비유적) 어떤 데에서 떠나지 못하고 딸리어 있다.

– 야, 되지도 않는 일에 목 매지 마라.
– 학부모는 아이의 성적에 목을 맨다.

10) 일정한 기준에 따라 사물의 값이나 등수 따위를 정하다.

– 잡아 올린 물고기에 좋은 등급을 매었다.
– 상품에 값을 매다.


오늘은 한국인이지만 나도 모르게 헛갈리는 메다 매다 뜻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메다 매다 차이에 대해 공부하시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