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개발 자기계발 차이 – 계발? 개발? 종결!

요즘 이직을 위해서는 [자기개발 / 자기계발]이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일상에서 자기개발 자기계발 중에 뭐가 맞는지 혼동되는 분들을 위해 자기개발과 자기계발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자기개발 자기계발

1. 자기개발 자기계발?

결론적으로 모두 다 맞는 말입니다.

  • 자기 개발 (O)
  • 자기 계발 (O)

본인의 기술이나 능력을 발전시킨다는 의도이면 자기 개발이고, 자신의 안에 잠재된 재능이나 사상을 일깨워주는 것은 자기 계발입니다.

의미적으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

국립국어원 역시 표현 의도에 따라 모두 맞는 표현이라고 답변을 한 바 있습니다.

그러니 앞으로는 부담없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2. 자기계발을 더 많이 사용.

다만, 일상생활에서 스스로의 능력을 끌어올리는 것에 대해서 자기계발을 쓰는 경향이 더 있습니다.

그 이유는 각 단어의 뜻을 살펴보면 이해가 되실 겁니다.

1) 개발

토지나 천연자원 따위를 유용하게 만듦

산업이나 경제 따위를 발전하게 함

새로운 물건을 만들거나 새로운 생각을 내어놓음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

개발의 경우 토지, 자원, 산업, 경제, 상품에다가 사람의 지식 재능까지를 발달하게 한다는 의미인데 반해,

계발은 보통 ‘사람의 능력’에만 한정되는 표현입니다.

2) 계발

(사람의)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

그래서 사람들이 사람의 능력을 끌어올리는 ‘자기계발’이라는 표현에 개발보다는 계발을 더 사용하고 있는 것이지요.

제가 학창시절에도 개발보다는 ‘계발’이 더 적합하다는 식으로 배웠거든요. 그렇게 배운 사람들이 이제 사회에서 활동을 하다 보니 계발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고요.

3. 확실한 것은!

일상에서 계발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모든 국어시험의 기준이 되는 국립국어원에서는 모두 맞는 표현이라고 했기 때문에 어떤 것을 사용하셔도 무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게 제일 중요하죠!)

4. 개발 뜻별 예문

한자
開 : 열 개, 發 : 필 발

① 토지나 천연자원

– 산림과 자연을 보호하기 위해 더는 국토 개발을 해서는 안 된다.

– 원주민들은 토지 개발 보상금을 받았다.

–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유전이 개발되어 그 국가는 돈방석에 앉았다.

② 지식 재능

– 자신의 능력 개발이 중요한 시대가 되었다.

– 끊임없는 자기개발로 사회에서 도태되지 말아야겠다.

– 이직을 위해서는 자기 개발은 필수입니다.

– 요즘 자기개발서를 읽고 있다.

③ 산업이나 경제

– 식품업체였던 우리 회사는 갑자기 자동차 솔루션 산업 개발에 뛰어든다고 한다.

– 대한민국은 국가적 차원의 경제 개발로 인해 절대빈곤에서 벗어났다.

– 국가에서 중공업 개발을 밀어주어 산업 구조가 크게 바뀌었다.

④ 새로운 물건이나 생각

– 우리 회사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다.

– 불치병에 도움이 되는 신약을 개발하였다.

– 신제품을 개발하여 출시하였다.

5. 계발 뜻 예문

한자
啓 : 열 계, 發 : 필 발

– 나는 요즘 영어 회화 능력을 계발하기 위해 학원을 다니고 있다.

– 자기 계발을 게을리 하지 않던 진수는 굴지의 대기업으로 이직에 성공했다.

– 요즘 웹툰작가들은 상상력을 계발하여 좋은 작품을 만들고 있다.

– 자기 계발에 가장 강력한 무기는 꾸준함이다.


오늘은 평소에 궁금해하셨던 자기계발 개발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공식적인 뜻 차이는 없고 실생활에서 계발을 조금 더 사용한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